반응형

쿠팡의 뉴욕 증시 상장에 우리의 관심이 쏠리는 이유는? f.권순우

 

 

이번에 상장된 쿠팡은 미국기업입니다.

미국 쿠팡이 지주사고 자회사인 쿠팡이 우리나라에서 영업을 하고 있습니다.

최대주주는 인본인인 손정희 회장입니다.

한국에서 비즈니스를 하다 보니 우리나라 회사라고 오해가 생긴 것 같습니다.

경제성을 따지고 보면 우리나라에서 고용을 하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리나라에 세금을 내니깐 꼭 국적을 따질 필요가 있나 생각됩니다.

 

쿠팡이 상장할 때 공모가가 35달러를 받았습니다.

처음 희망 공모가가 27에서 30달러 정도였습니다.

미국의 언론들은 쿠팡의 시가총액을 약 33조원에서 높게 보면 55조원 정도를 예상했었습니다.

우리나라에서는 20조원 정도도 비싸지 않나라고 예상했었습니다.

그런데 언론보다 높은 35달러로 시작을 하게 되었습니다.

공모가만 70조원 가까이 된 것입니다.

쿠팡은 상장되자마자 주가가 상승하여 장중 69달러까지 올랐다가 좀 빠지면서 45달러에 마감을 했습니다.

 

 

유통업은 PBR이나 PBR을 잘 사용안합니다.

매출액 대비 주가가 얼마냐인 PSR이나 거래규모를 가지고 계산하는 GMV라는 지표를 많이 사용합니다.

쿠팡의 2021년 예상 매출을 20조원 정도 예상합니다.

쿠팡의 시가총액이 50조원이라고 가정하면 PSR2.5배가 됩니다.

알리바바가 PSR5배 정도, 아마존은 3.5배 정도 됩니다.

알리바바나 아마존에 비하면 그렇게 대단하게 많이 받은 거 같지는 않다고 생각이 되다가도 우리나라 기업이 알리바바와 아마존을 비교대상으로 삼는 것이 맞는지도 생각하게 됩니다.

알리바바와 아마존의 시장 점유율은 40%가 넘고 시장 사이즈도 한국보다 훨씬 큽니다.

그러니 알리바바나 아마존보다 덜 받았다고 비싼 것이 아니라고 말하는 것도 매매합니다.

전체 시가총액으로 따지면 아마존은 1700조원, 알리바바는 거의 800조원입니다.

이런 총액으로 보면 쿠팡은 두 회사에 비하면 적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쿠팡의 가치를 어떻게 평가해야 적절할까에 대해 굉장히 혼란스러운 상황입니다.

물류사업은 각 지역적인 특성이 굉장히 중요한 요소입니다.

한국적인 특성이 쿠팡의 매력을 굉징히 높여준다고 평가하는 해외 투자전문지가 있었습니다.

한국은 지역은 좁은데 인구는 굉장히 조밀하게 있습니다.

쿠팡은 이 안에서는 거의 완벽한 물류체계를 구축할 수가 있습니다.

그러나 아마존이나 알리바바는 너무 넓은 지역을 커버해야 하기 때문에 독점성이 떨어질 수 있다고 이야기 했습니다.

이건 어떻게 보면 미국 사람들이 한국을 잘 몰라서 쿠팡을 너무 높게 평가한거 아닌가 하는 생각도 들게 됩니다.

쿠팡이 하는 서비스는 우리나라 물류기업들 대부분 다 하고 있는 서비스입니다.

미국에서 보기에는 새벽배송이나 당일배송 이런 서비스가 너무 대단하게 느껴졌었을 수 있겠지만 우리는 너무 당연한 서비스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반대로 생각하면 우리나라의 물류인프라가 워낙 좋다 보니 우리 스스로 우리나라의 물류기업들을 너무 낮게 보는 것이 아닌가 생각도 들었습니다.

 

 

우리나라가 전자상거래 세계 10대 시장입니다.

아마존이나 알리바바가 들어와서 먹지 못한 시장이 우리나라가 거의 유일합니다.

아마존이나 알리바바가 성공하지 못한 굉장히 선진화되어 있는 시장에 어마어마한 기술력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앞으로 20배 이상 성장할 수 있다고 생각하니 주가매력이 높게 나오는 것입니다.

 

쿠팡의 미국 상장 성공으로 네이버의 가치를 새롭게 바라봐야하는 관점이 생겼습니다.

네이버 쇼핑의 시장점유율이 쿠팡보다 훨씬 높고 거래규모도 훨씬 많습니다.

그리고 네이버는 쇼핑 뿐만이 아니라 나머지 웹툰, 광고 등의 어마어마한 플랫폼 회사입니다.

그런데 네이버의 시가초액이 60조원이 조금 넘습니다.

쿠팡은 커머스만 가지고 100조 이야기가 나옵니다.

이런 상황에서 네이버 담당 애널리스트들이 네이버 쇼핑의 벨류에이션만 봐도 네이버가 너무 싸다면서 목표가를 계속 상향하고 있습니다.

이마트의 시총이 5조원, 롯데쇼핑이 34천억원, GS리테일이 27천억원입니다.

이런 회사들의 벨류에이션도 다시 검토해야 하지 않을까 생각됩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1.03.15)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과 함께의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신과 함께 방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언텍트의 양대 산맥 네이버와 카카오의 내년 흐름은? f.이민아

 

2020년 네이버와 카카오는 상반기에는 정말 핫한 주식이였는데 가을 무렵부터 별로 재미가 없었습니다.

상반기에는 주가가 실적보다 훨씬 더 가파르게 상승을 하였습니다.

주가는 많이 상승하였는데 하반기 들어서면서 코로나 회복에 대한 기대가 커지면서 증시에 반영되기 시작했습니다.

최근에 들어서는 주가가 조정을 받고 전고점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앞으로는 언텍트로 묶였다고 다 같이 가는 장세는 아닐 것으로 보입니다.

이제 실적이 꾸준히 좋아져야 벨류에이션 부담이 줄어드니 실적에 따라서 주가가 가는 국면으로 바뀔 것으로 생각됩니다.

 

 

카카오는 불과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별로 실적을 못 냈던 회사입니다.

시장에서 보면 굉장히 많은 비즈니스를 펼쳐 왔는데 2018년까지만 하더라도 수익을 별로 내지 못했었습니다.

그러다가 작년부터 모든 자회사들이 돈을 벌기 시작하면서 본격적으로 수익화가 되는 국면에 진입하면서 카카오는 계속 수익률이 올라가는 구간에 있습니다.

그런데 아직 플렛폼 회사인데 영영이익률이 12%정도에 불과합니다.

본격적으로 자회사들이 턴어라운드하면서 내년에도 계속적으로 실적이 좋아질 것으로 보입니다.

 

2021년에 카카오뱅크, 페이가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2022년 정도에 카카오페이지라는 웹툰 회사가 상장을 앞두고 있습니다.

두 가지 시각이 있습니다.

하나는 자회사들 가치가 부각이 되면서 카카오 주가가 더 좋을 수 있다는 시각입니다.

다른 하나는 자회사들이 상장을 하면 자회사 별로 따로 거래가 가능하면 투자자가 분산 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상장을 하면 신주 발생을 하게 되어 지분율이 희석될 수 있고 주지수가 상장자회사를 가지고 있으면 그 가치를 약간 할인해서 반영을 하는 경우가 있어서 오히려 카카오 주가에 약간 부정적인 시각입니다.

 

개인적으로는 카카오 자회사 상장이 주가에 부정적이지는 않다고 생각합니다.

지금의 카카오 시총에 내재되어 있는 자회사들의 지분가치보다 상장을 하고난 다음에 훨씬 큰 가치로 평가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각 자회사들의 향후 계획이라든지 실적에 대한 전략 등이 훨씬 더 구체적으로 공개될 수 있기 때문에 더 높은 가치로 평가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여전히 카카오 안에는 카카오톡이라는 핵심 자산이 남아 있다는 점 또한 카카오 지주사의 주가는 좋게 보입니다.

 

 

네이버가 작년부터 사실 실적이 부진했던 시기가 있었는데 라인이 일본에서 간편결제 서비스 확대를 위해 비용을 많이 썼기 때문에 실적이 않좋았다고 생각을 했었습니다.

그런데 라인이 연결이 빠지고 20191분기부터 라인이 빠진 상태로 실적을 소급해서 보여줬는데 매출이 성장했지만 비용이 같이 증가하면서 사실상 7분기 연속으로 네이버 본사도 이익성장이 없었다는 것이 들어났습니다.

그 이유는 네이버가 비즈니스 확대를 위해 네이버 페이는 포인트 지급을 계속해서 늘리고 있습니다.

포인트 지급을 늘리면서 가입자 수를 늘리는 전략을 취하고 있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포인트 비용이 늘어난게 첫 번째 이유입니다.

두 번째는 네이버 웹툰이 글로벌 서비스를 확장하면서 그 비용이 늘어났습니다.

이 두 가지의 이유로 비용이 늘어나면서 이익이 정체되어 있는 상황입니다.

이런 상황이 내년에 반전되는 시기가 올거라고 보고 있습니다.

내년에 내이버 웹툰은 수익화를 본격적으로 시작하면 2분기부터는 실적이 개선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집니다.

 

카카오와 네이버가 같이 좋았던 시기가 있었지만 지금부터는 실적이 중요하다고 한다면 카카오는 좋아지는 구간에 있고 네이버는 비용을 늘렸기 때문에 이익률이 떨어진 구간이라서 지금은 카카오 쪽에 조금 더 무게를 주는 것이 좋아 보입니다.

 

 

미국의 아마존, 중국의 알리바바처럼 커머스 시장에서 한국 1등 사업자가 누가 될지 관심이 많습니다.

지금 시점에서 우리나라는 하나의 사업자가 모든 시장을 가져가기는 어렵다고 보입니다.

한동안은 이런 경쟁이 지속될 것으로 보이고 있어서 경쟁사간의 경쟁이 심해지면서 네이버의 지출이 당분간 지속될 수 밖에 없다고 보고 있습니다.

 

반면에 카카오의 커머스는 카카오의 선물하기가 주요 서비스입니다.

이 서비스는 기존 이커버스 사업자와는 직접적인 경쟁을 하지 않는 서비스입니다.

3분기에 네이버 쇼핑의 거래대금이 작년 동기 대비 40% 증가했습니다.

전체 이커버스 시장은 25% 정도 성장을 했고요.

그런데 카카오의 이커머스는 68%정도 성장을 했습니다.

카카오는 시장 성장률을 많이 상회하고 있는 것입니다.

코로나 때문에 카카오로 선물하기가 이용자수도 많이 늘어나고 있고 이용단가도 많이 늘고 있습니다.

내년에도 시장 성장을 상회할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 카카오의 내년 성장세는 계속 될 것입니다.

그리고 그 성장 동력에 대한 평가도 긍정적입니다.

그러나 현재 상태에서 이익률의 증가라는 모멘텀에서는 네이버 보다 카카오가 더 좋게 보입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0.12.29)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과 함께의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 신과 함께 방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