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4월 위기설? 채권분야 베스트 애널리스트에게 확인하는 채권 시황 f.이미선

 

채권시장 중에서 국채시장은 안정이 되었는데 회사채시장은 아직 안정이 안되었습니다.

채권안정펀드에서 매입을 해주는 채권들이 우량채입니다.

싱글A 이하는 어제 일부 살수 있다는 언급이 나왔습니다.

시장의 반응을 보면서 이런 언급들이 조금씩 더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증권사가 발행하는 CP는 매입대상이 아닙니다.

CP 잔액이랑 단기로 발행한 사채 잔액을 합치면 20조 정도 됩니다.

이번에 매입대사에 포화되지 않은 것들은 아직 안정이 안되고 있습니다.

원래 회사채는 더블A 이상급들만 거래가 되었었는데 지금은 싱글A들이 안좋으니 더블A급 들도 거래가 잘 안되고 있습니다.

더블A급은 우리가 알고 있는 대기업들 정도입니다.

우리나라 채권시장은 더블A급 이상이 발행 잔액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3월 중순까지는 미국채도 많이 매도세가 나오던 때라 우리나라 국채 금리도 많이 올랐습니다.

그러다가 미국이 기준금리를 인하하고 연준에서 문제가 되는 회사채도 매입을 해주겠다고 하고 난 다음에는 글로벌 금융시장은 많이 안정이 되었습니다.

우리나라도 기준금리를 50bp 인하를 하고 증권사들에게 채권을 담보로 받고 무제한으로 자금을 공급하겠다고 하여 그 이후부터는 우리나라 국고채 금리도 많이 안정화가 되었습니다.

그런데 회사채 시장은 아직 안정이 되지 않고 있지만 정책들이 조금씩 추가가 되면서 점점 안정화되리라 생각됩니다.

CP를 매입해주면 단기시장이 안정을 찾고 회사채 시장도 안정을 찾게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증권사들이 ELS 판매를 많이 했는데 이걸 글로벌 증시가 하락하면 증권사들이 마진콜을 납부해야 하는 압력이 커져서 3월 중순까지 보유하고 있던 채권을 매도하였습니다.

그런 식으로 매도가 나오면서 채권시장에 투매가 있었는데 이걸 매도하지 않고 한국은행에 담보로 맡기고 돈을 빌릴 수 있게 해준 것입니다.

그런데 증권사가 한국은행에 담보로 맡길 수 있는 채권이 충분하지 않다는 이야기가 나오고 있고 증권사가 돈을 짧게 조달하여 이걸 매달 차환해야 하는데 이 부분은 정책에 포함되어 있지 않습니다.

 

대형 기업들 중 몇 개가 4월 만기가 도래하는데 정책적으로 지원해주지 않으면 회사 자체적으로 상환을 할 수 없는 상황이였던 것도 사실입니다.

지금 그 부분은 정책적으로 도와주겠다고 하여 일단 4월은 넘겼습니다.

항공사들은 지금 정부 지원이 없으면 존립 자체가 어렵습니다.

지금 같은 상황에서는 기업이 자생적으로 상황이 좋아지긴 어렵기 때문에 정책이 정확하게 적시에 들어가는게 중요한 상황입니다.

시장에서는 모든 기업들에게 다 지원해줄 수 있는 것이 아니라고 생각하여 여전히 불안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조만간 정책을 조정하여 지원을 추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 나온 정책적 지원은 채권안정화 펀드, 채권을 담보로 무제한 유동성 제공, 일반기업이 발행한 CP를 정책은행(산업은행)에서 2조원 정도 매입하는 것과 2조에서 3조 정도 회사채 신속인수제가 있습니다.

어느 기업까지 돕겠다는 리스트는 아직 없습니다.

일차적으로는 만기가 도래한 채권이 차환되는데 문제가 없게 할 것으로 보입니다.

3월 중순에 증권회사들이 채권을 투매하던 상황에 비해서는 지금은 상당히 안정화 된 것입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0.04.07)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으로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을 확인하시려면 팟케스트나 유튜브에서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ELS발 유동성 압박, 위기의 증권사들 f.권순우

 

첫 번째 장면은 해지펀드를 도와주는 증권사 팀이 있는데 여기서 주식도 빌려주고 달러가 필요할 때 담보 맞기고 달러를 비려오고 하는 일으 주로 합니다.

그런데 갑자기 달러 구하기가 힘들어 졌다고 합니다.

이게 외국인들이 주식을 많이 팔고 한국 시장을 떠나면서 달러가 구해지기 힘들어지지 않았나 생각하면서 보냈습니다.

달러 값이 많이 비싸진 것을 시장 참여자들이 많이 느끼고 있었다가 한 장면입니다.

두 번째 장면은 증권사들의 ELS를 지켜볼 필요가 있다는 취재원의 정보가 있었습니다.

ELS가 생각보다 시장 규모가 큽니다.

작년만 해도 100조원 정도 발행되었습니다.

기준지수가 하락을 하면 ELS가 낙인구간에 들어가게 되고 마진콜처럼 증권사가 증거금을 더 넣어야 하는 상황이 발생합니다.

이렇게 증권사에서 증거금을 더 넣을 때 달러로 넣어야 합니다.

증권사별로 마진콜로 넣어야 되는 돈이 조 단위로 나오고 있어 달러를 구해 외국에 넣어줘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세 번째 장면은 회사채 4월 위기설입니다.

4월이 회사채 만기가 월래 좀 많습니다.

지금 상황이 너무 안좋아서 알아보니 문제가 안 될 회사가 거의 없다고 합니다.

지금은 신용이 조금 안좋은 작은 회사 중에 한곳이라도 디폴트가 발생하면 채권 시장 자체가 냉각이 될 수 있는 상황입니다.

회사채는 만기가 3년 이상인데 단기 3개월 6개월 채권도 무서워서 채권을 못하고 있습니다.

단기물도 무서워서 못하고 있는 상황에서 회사채를 살 사람은 없을 것입니다.

지금까지의 세 가지 상황이 다 같은 상황에서 일어나고 있습니다.

증권사가 달러를 구하기 위해 3개월짜리 기업어음을 많이 발행하여 채권가격이 떨어졌고 이건 채권금리가 올라간 것입니다.

이렇게 단기물에 대한 불안감이 생기니 회사채의 발행이 불가능한 상황이 온 것입니다.

단기물이 많이 나와서 회사채 4월 위기설로 연결이 된 것이고, 단기물을 많이 내면서 달러를 구하는 과정에서 달러 값이 올라가게 된 것입니다.

ELS 헤지북에 있었던 여신전문금융체권도 시장에 많이 나오게 되어 채권시장에 충격을 준 것이고 달러를 많이 매입하는 과정에서 환시장에 영향을 주어 같은 결과로 이어 졌습니다.

 

통화스와프로 달러시장이 어느정도 안정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정부의 채권안정펀드 등 회사채가 디폴트 나면 안되니깐 회사채 시장에 개입하겠다는 모든 것이 다 연결되어 있습니다.

다 연결되어 있는데 이 모든 상황의 중앙에 증권사가 있습니다.

증권회사가 망하는 것을 잘 생각을 안하시는데 이런 유동성 위기 상황이 장기간 지속되면 증권회사도 위험할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증권회사 발 유동성 위기가 전체 채권시장을 망가뜨리고 체권 시장이 망가지면 신용시장이 망가지게 되고 신용시장이 망가지면 금융회사 부실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회사채를 못 막아서 회사 하나가 디폴트가 됐다. 그러면 이 회사가 은행에서 빌린 돈이 있을 건데 이건 은행의 부실로 전위가 될 수 있습니다.

회사 하나 정도의 디폴트는 평소라면 큰 문제가 안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지금처럼 예민한 시점에는 작은 회사 디폴트가 그 시장자체가 망가져 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지금 정부에서 하고 있는 것은 디폴트(경제적 죽음)를 금지시킨 것입니다.

지금은 모든 회사의 채권을 다 사줄 테니 아무도 못 죽는다 라고 하고 있는 겁니다.

죽을 거면 코로나19 사태를 어느 정도 지난 상태에서 회사의 자연사 상황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에서 죽으라는 것입니다.

 

지난주 한국은행의 한국판 양적완화 발표할 때 굉장히 긴박한 상황에 있었습니다.

우리는 주가 출령거리고 외국인이 많이 팔고 개인이 많이 받아주네 같은 이런 표면적인 것만 보지만 자금시장 안쪽에서는 지난주가 우리나라 굉장히 긴박하게 돌아갔었습니다.

 

두산중공업에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에서 1조원정도 지원을 하기로 하였습니다.

두산 위브더 제니스로 그동안 벌었던 돈을 까먹게 만든 일이었고 두산중공업의 주요 포트폴리오가 석탄화력발전과 원자력 발전인데 전 세계적으로 친환경 에너지로의 전환으로 주력사업의 사업이 잘 안되고 있습니다.

그래서 결국 두산중공업이 돈이 없습니다.

그래서 국책은행이 지원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국책은행이 지원했다는 이야기는 두산중공업은 더 이상 시장에서 자금을 구할 수 없다는 말과 같습니다.

이번 지원에 두산의 주식과 부동산을 모두 담보로 잡았습니다. 두산이 만약에 2~3년 내에 경영상의 정상괘도로 올라오지 못하면 두산중공업은 끝입니다.

 

경제의 신과 함께(2020.03.30)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