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약세가 불러올 나비효과 하반기는 결국 삼성전자? f.신중호
금 가격은 2011년에 1900달러를 찍고 내려왔습니다.
2000달러를 봐라 보고 있는 지금이 역사적으로 최고치입니다.
인플레이션에 대한 두려움에 금 가격이 오르고 있다고 생각됩니다.
달러와 금을 안전자산이라고 많이들 이야기하는데요.
지금 안전자산이라고 하는 것은 가격 변동성이 제한적인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안전자산의 의미가 가격이 변화지 않는 것이 아니라 위험할 때 교환의 가치를 인정해주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위기 초기에는 달러와 금이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다 일정 기간이 지난 후에는 달러와 금이 반대로 움직이는 경향이 있습니다.
지금은 위기 이후 달러는 약세로 가고 있고 금은 강세로 가고 있는 상황입니다.
코로나19 이후에 초기에는 현금 흐름을 확보하기 위해 거의 모든 자산을 팔고 달러를 보유하려 하였습니다.
지금은 그런 불안감이 어느 정도 해소되면서 달러 보유 심리가 빠르게 식었습니다.
여기에 인플레이션에 대한 걱정까지 가세하면서 달러 가치는 더욱 하락하고 있습니다.
지금부터 하반기는 금리는 오르기 힘든 상태에서 물가가 조금씩 올라가면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로 계속 내려오게 됩니다.
이 상황에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경영성과나 정부나 중앙은행에 흔들리지 않는 자산인 금을 사모으고 있습니다.
인플레이션의 압력이 커질 것에 대한 불안감으로 내가 가지고 있는 현금의 가치가 줄어들 것에 대한 불안감이 굉장히 커져 있습니다.
이머징 국가는 대부분 돈이 없기 때문에 우선 차입해야 합니다.
이머징 국가가 빌려온 돈이 대부분 달러입니다.
내가 빌려온 돈이 비싸졌다면 성장 할 수 있는 여력이 떨어집니다.
그래서 달러가 하락하면 좋은 국가들이 이머징 국가들입니다.
물론 원자재 중심의 이머징 국가는 지금 원자재 가격이 많이 하락해 있어서 성장하기가 쉽지 않지만 동아시아 국가들은 달러 하락의 혜택을 많이 볼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 시장의 외국인 매수 증가는 우리나라의 수출 규모 증가와 유사합니다.
외국인들은 한국의 수출이 돌아선 것을 보고 들어옵니다.
이번에 우리나라 수출이 전월 대비 증가하면서 외국인들이 매수하며 들어 왔습니다.
환율이 빠지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빠지는 것에 대한 기대치가 높아질 때 외국인들이 들어옵니다.
우리나라 환율이 1200원에서 1100원이 되는 이 구간에 외국인들이 들어오는 구간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집니다.
상반기에는 내수주, 개인 투자자들이 받쳐주었던 시장이라고 생각되며 하반기에는 수출주, 외국인, 대형주가 끌어주는 시장이 되지 않을까 생각되어 집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0.07.29)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과 함께의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신과 함께 방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