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미국 주식의 여력이 확인되는 식스센스 모델 f.유동원

 

전체 포트폴리를 100이라고 하면 선진국을 45% 정도 신흥국 주식을 12% 정도, 채권을 15% 정도, 유가선물을 5% 정도, 금을 20에서 25%정도 분배하는 것을 저번에 이야기 했습니다.

이 부분의 자세한 내용은 밑의 글을 읽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2020/08/14 - [돈 이야기] - 수익률 12%를 가져가는 환상의 자산 전략

 

수익률 12%를 가져가는 환상의 자산 전략

글러벌 자산 투자 결론은 나스닥 f.유동원 블랙디터만 모델에 여러 가지 자산들의 예상치를 집어넣고 돌려버리면 몇 %는 어디 투자, 몇 %는 어디 투자 이런 것이 자동으로 나옵니다. 어느 시점에�

makepeace79.tistory.com

 

주식에 대한 부분을 좀 더 이야기 하도록 하겠습니다.

미국과 중국의 패권싸움이 있고 미국이 너무 올랐으니 미국보다 중국에 투자를 해야 되는 것이 아니냐고 하는데 이것은 아닙니다.

주식만 놓고 보면 선진국 8, 신흥국 28:2 전략입니다.

선진국 8 중에서 미국 비중을 적어도 6 이상 아니면 전체를 전부 미국 주식으로 가져가도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에 대한 투자는 아직 유효하고 중요합니다.

 

 

 

신흥국 투자의 조심스러운 부분은 환율과 정권의 문제로 변동성이 너무 심하다는 것입니다.

미국은 지배구조 문제가 없고 주주 친화적이여서 미국 투자만큼 쉬운 투자가 없습니다.

 

미국 국채 금리가 빠르게 내려와서 0.51%까지 왔다가 지금 다시 올라와서 0.58%까지 올라갔습니다.

달러도 계속적으로 하락해서 거의 10% 가까이 평가 절하 되었다가 최근 바닥을 찌고 다시 상승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달러가 거의 바닥을 다졌고 추가적으로 하락하기 보다는 안정적으로 옆으로 간다면 미국 시장의 매력도가 다시 높아지게 되는 것입니다.

 

 

미국 투자에 대한 결론은 아직까지 전체적인 사이클은 상승 추세에 있습니다.

미국 주식이 내부에서 주도주의 변화는 다소 발생할 수 있어도 미국 주식의 비중을 줄여야 되는 모멤텀을 발견할 수 없습니다.

 

 

잔존가치 모델과 식스센스 모델로 돌려보니 아직 미국의 매력도가 상당히 많이 남아 있다고 나옵니다.

잔존가치 모델에서 2006~2008년도에는 미국의 상승여력이 마이너스였습니다.

지금은 상승여력이 S&P5007% 정도, 다우존수가 12% 정도, 나스닥은 19.5%가 나옵니다.

 

식스센스 모델은 주식과 상관관계가 큰 6가지 지표인 벨류에이션, 이익 모멘텀, 유동성, 경기선행지표, 주식 선호도, 정책 환경을 점수화 해서 도출 합니다.

이 모델에서는 지금이 미국 주식이 순매수를 해도 되는 구간이라고 나옵니다.

식슨센스 모델에서 점수가 +3이 나와서 미국 시장은 상승 할 것이다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미국 시장이 약간 걱정되는 부분이 없지 않아 있지만 지금 이 시점에서는 긍정적으로 보시고 투자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0.08.11)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과 함께의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신과 함께 방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반응형

글러벌 자산 투자 결론은 나스닥 f.유동원

 

블랙디터만 모델에 여러 가지 자산들의 예상치를 집어넣고 돌려버리면 몇 %는 어디 투자, %는 어디 투자 이런 것이 자동으로 나옵니다.

어느 시점에서는 주식이 좋고 어느 시점에서는 채권이 좋고 어떤 시점에서는 원자재가 좋을 때가 있는데 비중을 자동으로 조절을 해주니 이 모델은 상당히 좋습니다.

 

 

지금 상황에서는 리스크가 부담스럽지가 않은 상황입니다.

모델링 할 때 평균은 8%의 리스크를 넣고 분석을 하는데 지금은 12%를 넣고 분석을 했습니다.

12%라는 것은 내가 연간 12%의 수익을 창출하기 위해서 아래, 위로 12%정도의 변동성을 감안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그래서 결론은 선진국 주식 45%, 신흥국 주식 12%로 전체 주식 비중은 57% 정도로 나옵니다.

채권은 15% 정도 유가 선물이 5%, 금이 25% 정도로 포트폴리오가 구성됩니다.

이것이 목표 수익률이 12%인 포트폴리오입니다.

 

원자재인 유가와 금의 투자 비율이 30%로 평소보다 높게 나오는 이유는 달러의 약세 추이가 이어지는 구간이라서 그렇습니다.

달러가 약세로 가는 구간에서는 원자재들이 굉장히 핫 해집니다.

 

 

금 한 종목에 25% 비중이면 굉장히 높은 겁니다.

그런데도 모델에서 이렇게 나온 것은 역대 과거의 예 중에서 금이 많이 오르는 타이밍과 지금이 비슷하다는 것입니다.

과거에 금 상승기에는 10%, 20% 오르고 끝난 것이 아니고 보통 3년 정도에 300%, 700% 이런 식으로 상승했습니다.

 

 

원자재 중 유가는 변동성이 더 심합니다.

세일가스 때문에 공급이 확대되고 있고 수요는 전기차 때문에 줄고 있습니다.

예전에는 고점이 80달러였으면 이제는 고점이 50달러 정도 밖에 되지 않는다라고 생각해야 합니다.

그래서 유가 비중이 5% 밖에 나오지 않는 것입니다.

 

 

안전 자산 중에 가장 편하게 투자하는 것이 채권입니다.

미국은 망할리 없다고 생각하여 미국 국채를 많이 삽니다.

그러나 미국의 국채도 강등된 적이 있고 그 후의 채권 흐름을 한번 볼 필요가 있습니다.

그리고 갑자기 인플레이션이 오면 채권 금리가 올라갈 수 있습니다.

이런 부분을 감안했을 때 채권 투자가 조금 조심스럽습니다.

그래서 포트폴리에서는 15%만 배분되어 있습니다.

 

 

전체 포트 중 주식에서 선진국 45%, 신흥국 12% 배분입니다.

주식만 생각하면 선진국 80%, 신흥국 20% 정도 되겠네요.

달러가 약세면 신흥국 시장이 더 좋은 것이 아니냐?

그래서 현제 한국도 좋은 것이고요.

그러면 신흥국의 주식 비중을 더 늘려야 되는 것이 아니냐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일시적으로 맞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계속적으로 달러가 초 약세로 갈지 의구심이 갑니다.

지금 현재의 전체 선진국의 시가총액 그리고 전체 신흥국의 시가총액의 비중이 선진국 80에 신흥국 20입니다.

그래서 현재의 시가 총액에 맞추어서 투자하면 된다는 것입니다.

신흥국에 투자를 하더라도 숫자가 뒷받침 되는 국가에 투자해야 합니다.

그 중에 대표적인 국가가 한국, 대만, 중국, 베트남 정도입니다.

 

 

지금의 시기를 98, 99, 2000년 시절과 비교를 많이 합니다.

그때도 신흥국이 위기가 터지니깐 미국이 유동성을 풀어서 일시적으로 달러가 약세로 갑니다.

그리고 나서 몇 년간 달러가 강세로 갔습니다.

그래서 미국 주식 비중을 낮게 가지고 갈 필요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주식 비중 중에서 선진국 비중 80% 내에서 대부분을 미국 주식으로 가져가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미국 시장이 얼마나 더 상승할 것인가를 잔존가치 모델로 계산을 해봤습니다.

앞으로 6개월에서 12개월 정도에 S&P5008% 정도 더 올라갈 것으로 나오고 나스닥은 18% 정도 더 오를 것으로 나옵니다.

나스닥 중에서 큰 종목들만 뽑아 놓은 나스닥10021% 더 오르는 것으로 나옵니다.

되는 종목은 더 된다는 것입니다.

넷플릭스 같은 종목은 80%가 더 오른다고 나옵니다.

 

 

유동성만 가지고 끌어 올리는 것으로 계산하면 나스닥이 83%가 더 오르는 것으로 나옵니다.

이정도면 아직은 미국 주식 특히나 나스닥은 투자를 하셔야 하는 것입니다.

지금은 미국 주식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팔면 안됩니다.

 

위 내용은 경제의 신과 함께(2020.08.07)를 듣고 개인적으로 요약한 내용입니다.

신과 함께의 정확한 내용과는 다소의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정확한 내용은신과 함께 방송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